조경계획/경관 생태 연구실
Landscape Planning and Landscape Ecology
- 연구실 : 생명응용과학대학 제2실험동 111호실
본 연구실에서는 조경계획분야 중 경관생태계획, 도시 및 농촌경관계획, 야간경관계획, 녹지계획, 친환경 주거단지계획, LID(Low Impact Development) 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도시 생태계 연구 및 보존, 환경 친화적 토지이용 등에 관련한 많은 연구가 주요내용이다. 또한 경관생태자원들의 보존, 복원 및 개선과 친환경적 토지공간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관생태계획 수립을 위해서 다양한 도시 및 농촌 경관생태 조사, 분석, 방법 및 평가기법 등을 연구하며, 최근에는 물순환 회복과 저영향개발(LID)을 위한 다양한 조경계획 기법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 및 프로젝트
생태마을 분석
도시근교에 위치한 생태마을을 보존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농촌생태마을의 우수한 비오톱을 선정 · 보존하고 잠재력 있는 비오톱을 복원하기 위한 비오톱 조사, 분류 및 정략적 평가에 관한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환경부지정 생태마을 중 도시 근교 생태마을 사례지로 선정하여 농촌생태마을에서의 비오톱 유형분류를 실시하고 분류된 각 비오톱 유형별 경관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생태마을의 경관생태학적 문제점과 생태마을의 지정목적에 적합한 보존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럽생태마을 분석
생태마을 조성과 친환경 건축기술 등에서 앞서간 유럽의 생태마을을 대상으로 조성상의 기술적 측면과 운영상의 사회경제적 측면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태마을단지의 외부공간에서 성립하는 개인정원, 주민 공동체의 의한 커뮤니티정원, 경관 및 공유공간 등의 특징을 조사, 분석하였다.
경관특성평가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경관변화, 산림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문제를 야기했다.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영향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경관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경관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특성과 생물다양성 가치평가를 위한 생태지수를 결합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Woodland의 경관생태학적 분석
경관생태지수를 통한 지난 33년 동안 도시경관지역에서의 숲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여 숲의 변화와 숲의 공간적 특성을 평가하고 이런 변화가 어떻게 생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LID 계획
물순환 회복과 저영향개발(LID)을 위한 다양한 조경계획 기법들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논문 및 저서
- “경산시 저수지의 귀화식물 특성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2014.12.31.
- “지역 어메니티 촉진을 위한 마을만들기 운영사례 비교연구” 농촌계획 2013.06.30.
- “Characteristics of woodland changes in an urban fringe in Gwangju city” 농업과학연구 2012.06.30.
- “마을만들기 사업의 주민참여에 관한 주관적 인식유형” 한국디자인포럼 2012.05.25.
- “농촌경관지역의 산림변화 특성” 농업과학연구 2011.09.30.
- “경산시 보호수의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농업생명과학연구 2011.04.30.
-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hape indi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regional woodland patches” 농촌계획 2010.03.31.
- “A Study on the Technique of Waterscape and Spatial Composition of Gosan Yunseondo Goksudang Garden” 일본정원학회지 2009.10.30.
- “Woodland Changes and their Impacts on the Landscape Structure in South Korea, Kwangju City Region” LANDSCAPE RESEARCH 2009.06.01.
- “Resident's attitudes to landscape and ecology of idyllic housing sites: The case of South Korea” LANDSCAPE RESEARCH 2008.08.01.
- “The characteristics of ornamentals stones' arrangement i gardent of the Unified Shilla period”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07.03.31.
- “A basic study for landscape ecological design and planning by public participation in the Sheffield Green Belt” 농촌계획 2007.03.30.
- “도시 단독주택 정원의 공간적 특징과 유지관리에서 보이는 거주자의 정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07.02.28.
- “Landscape character, biodiversity and land use planning: The Case of Kwangju City Region, South Korea” LAND USE POLICY 2007.01.15.
- “비오톱유형에 의한 농촌생태마을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006.12.31.
- “유럽생태마을의 커뮤니티 정원과 공유공간의 경관적 특징”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006.10.25
- “Landscape metrics to assess the ecological conditions of city regions: Application to Kwangju City,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ORLD ECOLOGY 2005.09.01.
-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한국조경학회지 2005.08.31.
- “Woodland changes in an agricultural landscape - The case of Gwangju, South Korea” 학술회의 발표논문 및 초록 2011.10.09.
- “Urban woodland changes and biodiversity in South Korea” 학술회의 발표논문 및 초록 2010.10.04.